* 사진을 클릭하시면 해당 기사로 이동합니다.

망막질환, 실명까지 유발... 정기검진으로 예방하세요

관리자
조회수 233

눈의 가장 안쪽에 위치한 망막은 여러 층의 투명한 막으로 이뤄져 있다. 다수의 신경세포와 광수용기세포 등을 포함하고 있어 빛을 감지하고 시신경을 통해 시각정보를 뇌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수정체 굴절을 통해 각막으로 들어온 빛이 망막에 정확하게 상이 맺혀야 하지만, 망막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할 경우 일상생활에 심각한 불편함을 초래하고 심할 경우 실명까지 이어질 수 있어 평소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망막에 발생되는 질환으로는 망막박리를 비롯해 망막혈관 폐쇄, 당뇨병성 망막병증 등이 대표적이다. 망막박리는 망막이 안구 안쪽 벽에서 떨어진 상태로, 빛 자극을 받아들이는 시세포에 영양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시기능이 저하된다.

 

망막박리로 나타날 수 있는 주요 증상으로는 눈앞에 벌레나 실이 떠다니는 것 같이 느껴지는 비문증과 눈을 감았다 뜰 때 시야에 번쩍임이 느껴지는 광시증 등을 꼽을 수 있다.



눈앞에 커튼이 쳐진 것과 같은 시야장애가 나타나기도 한다. 해당 질환의 주된 원인으로 노화로 인한 후유리체 박리로, 망막에 구멍이 나는 망막열공이나 당뇨망막병증과 같은 질환의 합병증으로도 나타날 수 있다.

 

최근에는 근시에 따라 2~30대 젊은 층에서의 발생빈도도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증상이 심하거나 방치할 경우 자칫 실명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는 관계로, 가족력이 있거나 고도 근시, 안 외상 등 고위험군에 속하는 이들이라면 정기적인 안과 검진이 반드시 필요하다.

 

망막혈관 폐쇄는 당뇨나 고혈압, 심혈관질환 등 기저질환으로 인해 혈전이 많이 생기는 심혈관계질환 환자들에게 주로 발병하며, 이중 망막동맥 폐쇄는 응급에 해당한다. 이때 가급적 빠른 시간 안에 안압을 낮추는 치료를 받아야 하고, 행여 폐쇄가 2시간 이상 지속될 경우 시력을 잃을 수도 있다.

 

당뇨를 앓고 있는 이들이라면 당뇨병성 망막병증도 조심해야 한다. 당뇨병성 망막병증은 안구 내 미세 혈관 손상으로 인해 생성된 신생혈관 속 성분이 망막에 영향을 미처 부종이나 출혈을 일으키는 것으로, 전 세계 성인 양안 실명 원인 1위를 차지할 정도로 심각한 안과질환 중 하나로 분류되고 있다.

 

김정열 대전 일점영안과 원장은 “망막에 발생되는 질환 상당수가 안과적 응급상태에 해당할 만큼 발견 즉시 치료를 시행해야 실명 등 최악의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며 “망막질환은 노년층은 물론 젊은 층에서도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어 고위험군이 아니라 할지라도 정기적인 안과 검진을 통해 눈 건강을 관리하는 습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희원 기자 happy1@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출처: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http://www.segyebiz.com/newsView/20230814504675?OutUrl=naver)